초등학교 4학년 수학의 첫 단원은 ‘큰 수’입니다. 이 단원은 3학년까지 배운 수 개념을 확장시켜 더 큰 수의 구조와 자릿값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수학에서 수는 가장 기본이자 출발점이며, 이 기본을 제대로 잡지 못하면 나중에 배울 곱셈, 나눗셈, 단위 환산, 심지어는 소수와 분수 개념까지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특히, 4학년에서는 단위의 확장이 주요 학습 목표입니다. 천의 다음 단위인 ‘만’, 그리고 그 이후의 ‘억’, ‘조’ 까지도 다루게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아이는 수의 크기와 자릿값 개념을 자연스럽게 체득하게 됩니다.
‘만’은 천보다 큰 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천이 10개 모이면 만이 됩니다.
이처럼 1000 × 10 = 10000으로, 만은 천보다 한 단계 더 큰 단위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교과서 활동 예시
아이들은 수 모형이나 돈 모형을 통해 실제 수량을 직접 보고 세면서 ‘1만’이라는 수의 양감을 익히게 됩니다.
10000을 '일만' 또는 '만'이라고 읽는 것을 시작으로, 아이들은 점점 더 큰 수를 읽고 쓸 수 있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핵심은 자릿값입니다.
교과서에서는 ‘만의 자리’, ‘천의 자리’, ‘백의 자리’, ‘십의 자리’, ‘일의 자리’를 나누어 보며 각 자리의 숫자가 나타내는 값을 학습합니다.
예를 들어 23456이라는 수는,
→ 읽는 법: 이만 삼천사백오십육
이처럼 수의 구조를 이해하고 자리마다 어떤 값을 나타내는지 아는 것이 핵심입니다.
'억'은 '만'보다 훨씬 큰 단위입니다.
만이 만 개 모이면 1억이 됩니다.
즉, 10000 × 10000 = 100000000
이 수를 우리는 '일억'이라 읽습니다.
억 단위에서는 ‘만 단위’와 ‘천만 단위’를 넘어서는 수’를 읽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교과서에서는 “억이 무엇인지 설명하기”와 “억 단위 수의 읽기/쓰기” 연습 문제가 반복되어 나옵니다.
초등학교 4학년 교과서에서는 '조'라는 단위도 다룹니다.
‘억이 만 개’ 모이면 1조가 됩니다.
즉, 100000000 × 10000 = 1000000000000
이것을 ‘일조’ 또는 '조'라고 읽습니다.
‘조’는 매우 큰 수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단위로, 실제 생활에서는 국가 예산, 우주 거리, 데이터 양 등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예시 문제 (교과서 유형)
큰 수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활동은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비교 방법
교과서 활동 예시
교과서에는 ‘다누리호’ 이야기가 나옵니다.
우리나라가 달 탐사를 위해 사용한 금액이 몇 억 원이라는 기사를 통해 아이들에게 큰 수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런 실생활 사례를 통해 아이들은 수의 크기를 몸으로 느끼게 되고, 수학이 실생활과 연결된 학문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됩니다. 초등학교 4학년 수학의 '큰 수' 단원은 수의 구조와 자릿값 개념, 그리고 단위 확장에 대한 이해를 완성하는 기초가 되는 단원입니다.
초등학교 중학교 수학 공식 총정리: 시험 대비 완벽 가이드 (0) | 2025.04.08 |
---|---|
수학 교구의 종류와 활용 방법 (0) | 2025.04.02 |
수학적 사고를 키우는 일상 문제 해결 (0) | 2025.03.31 |
초등, 중등, 고등 역사 속 수학자 이야기 (0) | 2025.03.31 |
음악 속 숨겨진 수학의 세계 (0) | 2025.03.30 |